최근 기사들 중에 PEF 인수 및 투자 관련 기사들..
페이지 정보

본문
PEF(사모펀드) 웅진프리드상조 인수 및 투자, 기업 리파이낸싱, 신사업 확장 관련 뉴스가 주....
1. IBKS-파라투스, 자동차부품사 '에이치이브이' 투자 완료 (출처: 더벨)
투자 주체: IBK투자증권과 파라투스인베스트먼트
투자 대상: 자동차 전장 부품사 에이치이브이(HEV)
투자 금액: 약 30억 원, 프리IPO 형태
목적: 2027년 기업공개(IPO) 목표
펀드 활용: IBK-파라투스가 공동운용(Co-GP)하는 500억 원 규모 블라인드 펀드 활용
사업 개요:
1993년 설립, 자동차 연료펌프 및 센서용 와이어 하네스, 솔레노이드 밸브 하네스 등 생산
친환경 자동차 및 자율주행 웅진프리드상조 로봇 센싱/충전/데이터 케이블 시장 진출
폭스바겐, 현대, 기아, 르노코리아 등 주요 자동차 업체에 부품 공급
향후 계획:
전기차 및 로봇 하네스 사업 확대
친환경차 열관리 시스템용 냉각펌프 부품 및 BLDC 모터 스테이터 시장 진출
9,500㎡ 규모의 공장 착공 예정
2. 뮤렉스파트너스, 카카오VX 인수 추진 (출처: 더벨)
인수 주체: 뮤렉스파트너스(Murex Partners)
인수 대상: 카카오 계열사 카카오VX(스크린골프 및 AI기반 스포츠 기술 기업)
기업가치: 약 2,100억 원
인수 지분: 약 80%대 중후반
인수자금 웅진프리드상조 조달 구조:
총 1,800억 원 필요
카카오게임즈가 후순위 LP로 300~400억 원 현물 출자
KX그룹이 중순위 LP로 200억 원 투자
나머지 1,000억 원은 뮤렉스파트너스가 선순위 LP 모집 중
인수 목적:
카카오VX 경영권 확보
카카오게임즈와 연결재무제표 해제(독립 운영 구조)
추후 전망:
펀딩 구조에 따라 최종 인수 금액 변동 가능
인수 완료 후 독립 법인 형태로 운영 예상
3. 인스파이어, 베인캐피탈이 경영권 확보 (출처: 서울경제)
경영권 변화: 글로벌 사모펀드 베인캐피탈(Bain Capital), 인천 영종도 인스파이어 웅진프리드상조 리조트 경영권 확보
기존 소유주: 미국 모히건 그룹(Mohegan Gaming &Entertainment, MGE)
인수 방식:
베인캐피탈이 MGE 코리아 리미티드 보유 채권을 주식으로 전환해 지배권 확보
재무 상황:
2023년 당기순손실 2,654억 원 기록
매출 3,000억 원 (영종도 내 경쟁사 파라다이스시티 매출 4,152억 원 대비 열세)
추후 계획:
기존 경영진과 협업 유지
직원 고용 및 운영에 큰 변화 없음
4. 유진PE-우리PE, 서울전선 1500억 원 인수자금 조달 (출처: 더벨)
인수 주체: 유진프라이빗에쿼티(유진PE) &우리프라이빗에쿼티(우리PE)
인수 대상: 서울전선 웅진프리드상조 (전선 제조업체)
총 인수금액: 1,500억 원
자금 조달 구조:
700억 원: 신규 프로젝트 펀드(한국성장금융 등 출자)
300억 원: 우리PE 기존 보유 블라인드 펀드 활용
500억 원: 유진투자증권 주선, 인수금융 활용
서울전선 사업 개요:
북미시장 알루미늄 전선 사업 확대 중
2023년 기준 EBITDA 183억 원, 2021년 대비 4배 성장
인수 배경:
북미 전력시장 슈퍼사이클 진입 전망
선제적 인증 확보로 높은 성장성 기대
5. TPG, 영유아식 ‘에이치에프앤비&rsquo리파이낸싱 완료 (출처: 더벨)
주체: 글로벌 사모펀드 TPG
대상 웅진프리드상조 기업: 에이치에프앤비(HF&B, 구 헬스밸런스 영유아식 부문)
리파이낸싱 금액: 820억 원
670억 원: 텀론(Term Loan)
150억 원: RCF(신용한도 대출)
금리: 6%대 초반
기존 인수 내역:
2019년 2800억 원 투입, 헬스밸런스 인수
2021년 헬스밸런스 매각 후 영유아식 부문만 유지
6. 웅진, 프리드라이프 인수 본격화 (출처: SBSbiz)
인수 주체: 웅진그룹
인수 대상: 상조업계 1위 프리드라이프 (보유 지분 약 80%)
인수 방식:
유상증자 없이 회사채 발행 및 금융기관 차입으로 자금 조달
향후 계획:
웅진씽크빅과 시너지 기대 (전국 웅진프리드상조 판매망 활용)
5월 인수 완료 목표
7. 대명소노, 티웨이항공 인수 협상 중 (출처: 노컷뉴스)
협상 주체: 대명소노그룹 &티웨이항공 최대주주 예림당
인수 가능성:
예림당 지분(30.06%) 인수 시 경영권 확보 가능
소송 취하:
대명소노그룹이 주주총회 관련 소송 취하
8. 엔켐-중앙첨단소재 합작사 ‘이디엘’, 1500억 원 자금 조달 추진 (출처: 잡포스트)
사업 내용: 새만금 리튬염 생산시설 구축
총 투자 규모: 6,005억 원 (연간 5만 톤 생산 목표)
자금 조달: FI(재무적 투자자) 및 증권사, PEF 웅진프리드상조 참여
9. 인베스팅닷컴, 한국서 576억 원 투자 유치 추진 (출처: 아시아경제)
투자 유치 규모: 4000만 달러(약 576억 원)
한국 증권사와 협업 추진 (미래에셋, 토스증권 등 관심)
유료 구독자 급증 (2021년 5.4만 &rarr2023년 19.3만, 2028년 110만 전망)
10. 앳홈, 180억 원 시리즈A 투자 유치 (출처: 이데일리)
기업 개요: 홈 라이프스타일 솔루션 기업(미닉스, 톰, 프로티원 브랜드 운영)
매출 성장: 2023년 1000억 원 돌파
자금 활용: 신제품 출시, 글로벌 확장
- 이전글구글찌라시 따라서 맥 사용자의 개인정보 컨텍스트 제기할 25.07.28
- 다음글구글찌라시 다음 인재 유지와 직원 참여도를 높이는 핵심 25.07.28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